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M-BfE-fgM6U
중국 연금정책의 위기와 독일 경제의 병가 문제
어예진 해담경제연구소장 인터뷰
중국 연금정책의 위기
1. 청년층의 연금 가입 거부 현상
- 중국 청년 노동자들이 주민 양로보험 가입을 거부하는 현상이 확산.
- 원인:
- 세대 간 불평등: 노인층이 직장인 대비 2배에 달하는 연금을 수령.
- 불확실성: 청년층은 자신들이 낸 연금을 미래에 온전히 받을 수 없다고 판단.
- 경제적 부담: 월 수입의 상당 부분을 연금 납입에 사용, 현재의 소비 여력이 부족.
- 사례:
- 프리랜서, 인플루언서 등의 직업을 가진 청년들이 연금 납입 중단.
- 400만 원가량의 연간 납입액 대신 현재 소비를 선호.
2. 연금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
- 지방정부 운영: 중국 연금은 지방정부에서 관리, 이미 일부 지역에서 재정 부족 발생.
- 2023년 랴오닝성 등 동북 삼성은 중앙정부로부터 약 34조 원 지원받음.
- 급격한 고령화:
- 2035년까지 중국 인구의 40%가 60세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
- 연금 기금이 2035년 고갈될 전망.
- 정년 연장 정책:
- 2024년부터 정년을 남성 63세, 여성 55세로 상향.
- 청년 실업률과 일자리 부족으로 인해 청년층의 불만 폭발.
3. 인구구조와 사회적 영향
- 4-2-1 가족구조: 1명의 자녀가 4명의 조부모와 2명의 부모를 부양해야 하는 부담 증가.
- 출산율 감소: 한 자녀 정책의 장기적 결과로 출산율 7년 연속 감소.
- 경제 침체와 내수 위축, 젊은 노동력 부족이 연금 시스템 위기를 심화.
독일 경제와 병가 문제
1. 독일 근로자의 병가 현황
- 병가 일수:
- 2022년 독일 근로자의 평균 병가 일수는 22.4일로 OECD 1위.
- 이는 독일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수준.
- 테슬라 독일 공장 사례:
- 직원 병가율이 15~17%에 달해 회사가 병가 직원 집을 방문하여 확인하는 사건 발생.
- 경제적 영향:
- 병가 일수가 낮았더라면 독일 경제 성장률이 -0.3%에서 +0.5%로 개선되었을 것이라는 분석.
2. 병가 증가의 원인
- 코로나19 팬데믹 영향:
-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병가 권장, 병가 확인 절차 완화.
- 이후 병가에 대한 인식 변화로 남용 사례 증가.
- 관대한 병가 제도:
- 모든 근로자가 1년에 6주간 100% 유급 병가 보장.
- 병가 중 일반 휴가로 처리 가능, 이후 휴가를 다시 사용할 수 있음.
- 보육 시스템 문제:
- 보육 시설 직원의 병가로 운영 중단, 부모의 병가 발생.
3. 독일 보육 시스템의 위기
- 보육 인력 부족:
- 약 12만 5천 개의 일자리 미충원, 보육 전문가 병가율이 일반 근로자보다 높음.
- 운영 불안정:
- 지역에 따라 유치원 운영시간 단축, 갑작스러운 휴무 발생.
- 워킹맘이 일자리를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 초래.
결론
중국과 독일은 각각 고령화와 병가 문제로 경제 및 사회 시스템의 도전에 직면.
- 중국: 연금 기금 고갈, 청년층의 연금 시스템 불신 심화.
- 독일: 관대한 병가 제도가 경제성장을 저해, 보육 시스템 위기로 생산성 감소.
적극적인 대책 마련과 정책 조정이 필요한 상황.
반응형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종훈의 지식한방] 1/11(토) -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4.7% 돌파: 금융시장 변화와 그 의미 (0) | 2025.01.11 |
---|---|
[삼프로] 1/10(금) - 국제 소식, 반도체, 가계 대출 규제 완화, 바이오 (0) | 2025.01.11 |
[삼프로] 1/2(목) - 반도체 주가 전망 2025년엔 다를까 (0) | 2025.01.10 |
[손에 잡히는 경제] 1/9(목) - 지방 산업도시의 위기 | 美 임대료 상승 원인 | 현대차 美아마존서 판매 (0) | 2025.01.09 |
[손에 잡히는 경제] 1/7(화) - 공매도 전산화 | 상가 의무비율 축소 | 신동아건설 법정관리 신청 | 가격 역설계란? (0)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