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

[박종훈의 지식한방] 1/11(토) -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4.7% 돌파: 금융시장 변화와 그 의미

나는산타 2025. 1. 11. 23:0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S0CGCn7ou6A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4.7% 돌파: 금융시장 변화와 그 의미

주요 내용 정리

최근 전 세계 금융시장에서 발생한 이상 현상과 그 배경을 분석하며,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의 급등이 금융시장과 경제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설명합니다. 박종훈의 설명을 바탕으로, 금리 상승의 원인, 과거와 현재의 금융시장 구조 변화, 그리고 이로 인한 경제적·정치적 함의에 대한 내용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급등

배경 및 현재 상황

  • 미국 연준이 기준 금리를 인하했음에도 불구하고, 10년물 국채 금리는 급등하여 4.7%를 돌파.
  • 기준 금리가 인하되었음에도 시장 금리가 상승하는 비정상적인 현상이 미국뿐 아니라 유럽에서도 발생.
  •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

주요 특징 및 세부 내용

  • 2020년대 초 국채 금리는 0.5%대까지 하락했으나 이후 약 9배 상승.
  • 과거 40년 동안 금리가 하락한 배경: 전 세계 과잉 저축으로 인한 자금 과잉.
  • 과잉 저축이 끝나고 금리가 상승하는 새로운 시대 도래.
  • 미국뿐 아니라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유럽 주요국에서도 시장 금리 급등.
  • 금리 상승은 채권 시장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 가능.

과잉 저축 시대의 종말

과잉 저축의 역사적 배경

  • 1980~1990년대: 선진국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 활동 및 저축 증가.
  • 2000년대: 동아시아(특히 중국)의 과잉 저축과 미국 국채 대량 매입.
  • 2010년대 이후: 중국 경제 성장 둔화 및 저축률 하락.
  • 코로나 팬데믹(2020~2022년): 각국 중앙은행의 무제한적 돈 풀기와 그 부작용.

주요 특징

  1. 베이비붐 세대: 저축률이 높았던 세대가 은퇴하며 자금을 인출하기 시작.
  2. 중국의 변화: 과잉 저축에서 과잉 투자로 전환, 저축률 감소.
  3.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 글로벌 인플레이션 유발 및 무제한적 자금 공급의 한계.
  4. 돈의 공급 감소: 저축 감소와 함께 돈의 국적 개념 강화로 자금 이동의 제한.
  5. 저금리 시대 종결: 공급 부족으로 인해 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

현대 통화 이론(MMT)과 그 부작용

MMT의 기본 개념

  • 재정적자 확대와 무제한적인 돈 풀기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는 주장.
  • 주요 옹호자: 제레미 코빈(영국), 오카시오 코르테스(미국).

MMT의 문제점 및 비판

  1. 부채 증가: 미국 국가 부채 36조 달러 돌파, 프랑스의 부채도 GDP 대비 110% 초과.
  2. 글로벌 인플레이션 유발: 무제한 돈 풀기의 부작용으로 물가 급등.
  3. 부동산 가격 폭등: 각국의 부동산 가격 상승과 투자자들의 몰림 현상.
  4. 청년 세대의 경제적 소외: 낮은 소득으로 인해 새로운 저축 주체 형성 불가.
  5. 미래 성장 잠식: 재정적자 확대가 미래 세대의 성장 가능성을 저해.

금융시장의 변화와 향후 전망

금리 상승의 원인

  •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의 저축 감소.
  • 각국 정부의 부채 확대와 미래 성장의 현재화.
  • 글로벌 자금 흐름의 변화와 제한.

향후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

  1. 성장률 둔화: 고금리로 인한 투자 감소와 경제 성장 제약.
  2. 채권 시장 불안: 금리 상승으로 인한 채권 가치 하락 및 시장 혼란.
  3. 청년 세대의 경제적 부담 증가: 저축 및 투자 기회 부족.
  4. 정치적 갈등 심화: 부채 증가와 재정정책에 대한 논쟁.
  5. 금융 시스템의 구조적 변화: 새로운 금리 시대의 도래와 이에 따른 적응 필요.

결론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의 급등은 과잉 저축 시대의 종말과 새로운 중금리 시대의 도래를 상징합니다. 금리 상승은 단순히 금융 시장의 문제가 아니라 경제 구조, 정치, 세대 간 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화.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과 국가 모두 새로운 경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

반응형